한국 이야기/Wedding Planning

Wedding Planning 15】 혼인 신고 혼자하기, 필요 서류 및 준비(부모님 돌아가신 경우 및 서류 작성시 궁금했던 점)

얌얌외노자 2025. 5. 30. 13:21

우리는 25년 9월 말 예식, 6월 말 이사인데 혼인신고를 5월에 제일 먼저 하게 되었다.
미국에 있는 나를 대신해 혼자서 혼인신고하고 온 오빠^^
혼인신고는 같이 가서 해야 하나 생각하다 급하게(?) 혼인신고를 진행한 이유는 글 마지막에 공개!!ㅋㅋㅋ
 

혼자 가서 하는 경우 필요서류

1. 혼인신고서 양식 (미리 작성해 가면 시간 세이브 가능)
2. 신청자 본인 신분증 및 도장, 배우자 신분증 및 도장(인감도장 아니어도 됨)
3. 증인 두 명의 도장
(서류 사전 작성 후 도장 미리 찍어 놓으면 가져갈 필요 없음)
4. 그리고 마음의 준비❤️
 

<혼인신고서 양식 작성하기>

혼인 신고서 양식에 1. 혼인당사자 부분과 2. 부모, 7. 증인 부분을 기입하면 되고,
혼인 신고서 작성하며 궁금했던 부분에 대해 적어볼까 한다.
 
Q: 꼭 수기 작성 해야 하나요?
A: 아니요, 타이핑하시고 인쇄해서 도장 찍으셔도 돼요. 누가 그러냐고요?? 깔끔한 거 좋아하는 제 남자친구요^^
 
Q: 부모님이 돌아가신 경우 부모님 주민등록번호와 등록기준지 모두 작성해야 하나요?
A: 동사무소에 문의하니, 부모님 중 돌아가신 분이 계시다면 이름만 기입하시면 됩니다.
 
Q: 본은 뭐죠?
A: 나를 기준으로 가족관계 증명서 열람하면 나와 부모의 본 확인 가능해요.
 
Q: 등록기준지는 주소랑 다른가요?
A: 등록기준지는 현재 주소 또는 주민등록상 주소와 다를 수 있어요. 기본증명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 
Q: 증인이 함께 가야 하나요?
A: 증인이 동행할 필요는 없고, 증인의 신분증도 필요 없습니다. 
 
Q: 혼인신고 하면 바로 혼인 확정 되나요?
A: 동사무소에서 대략 5-7일 기간 소요된다고 하나, 대부분의 블로그 글을 찾아보면 3-5일 정도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.
문자로 확정 여부 알림이 온다고 하더라고요.
 
Q: 혼인신고 확정 되면 혼인관계서 바로 발급 가능한가요
A: 네
 
Q: 꼭 관할 구청 및 동사무소로 가야 하나요?
A: 아니에요! 관할 구역 아니고 가까운 곳으로 가셔도 돼요
 
 
그리고 우리가 이렇게 혼인신고를 서둘렀던 이유는 바로!! 대전시 신혼부부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다. 
2025년 혼인신고를 한 부부 대상으로 1인당 250만 원을 지원해 주는데, 만 39세까지 가능!!
오빠는 올해 39살이 되는 해라 신청 가능한 마지막 해인데 우리가 딱 올해 결혼을 한다^^ 럭키비키❤️
대전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해야 하고 혼인신고를 해야 신청할 수 있는데, 서류 심사 기간이 한 달 정도 된다고 하길래, 혼인신고 하고 지원금 신청 서류까지 접수해 놓고 오빠가 미국 왔다 6월 말에 한국에 들어가면 서류 심사가 딱 끝나 있을 것 만같은 나의 생각^^ 그리고 바람.
그래서 오빠 혼자 혼인신고 하고 왔고 다음 주에 혼인신고 확정되면 바로지원금 신청하려고 한다.
 
이렇게 나는 결혼도 하기 전에 공식적으로 유부녀가 되었다^^

 
 
서류 접수 후 대략 1주일 정도 걸린다고 했는데, 금요일 혼인신고하고 월요일 혹시나 해서 확인해 보니 확정처리가 되어있었다!
담당자분이 확정되면 문자가 온다고 했는데, 문자 안 왔는데 확인해 보니 확정처리가 되어있었다는...
혹시 서류가 급하신 분들은 문자 믿지 말고 들어가서 확인해 보세요~~

반응형